본문 바로가기
토질 및 기초

무근 콘크리트 라이닝의 강도 설계

by TNT007 2025. 1. 24.

강도설계법

구 분 단 면 력 검 토
휨모멘트와 축력을 동시에 받고 있는 부재의 압축면 검토
휨모멘트와 축력을 동시에 받고 있는 부재의 인장면 검토
전 단 검 토

 

테르자기 이완하중

암 반 상 태 RQD 암반하중 Hp 비 고
1. 경질의 무결암 95-100 0 스폴링이나 포핑이 일어날 경우에만 얇은 라이닝
2. 경질의 층상 혹은
편상 (schistose)
90-99 0 0.5 B 스폴링 방지를 목적으로 간단한 지보. 암반
하중은 위치에 따라 불규칙하게 변할 수 있음
3. 괴상, 보통정도
절리가 발달
85-95 0 0.25 B -
4. 보통정도의 블록상,
균열상
75-85 0.25B0.20(B+Ht) 측압이 없음
5. 심한 블록상, 균열상 30-75 (0.200.60)(B+Ht) 측압이 아주 작거나 없음
6. 완전히 파쇄되었으나
화학적으로는 신선암
6a. 모래와 자갈
3-30
 
0-3
(0.601.10)(B+Ht)
 
(1.101.40)(B+Ht)
상당한 측압 - 지하수 유출로 터널바닥이 약화되는 경우, 철재지보의 바닥받침대를 설치하거나 원형 철재지보를 설치하여야 함
7. 압착성 암반,
보통정도 심도
NA (1.102.10)(B+Ht) 큰 측압이 작용하며 인버트 버팀대가 필요.
원형 철지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8. 압착성 암반, 대심도 NA (2.104.50)(B+Ht) -
9. 팽창성 암반 NA (B+Ht)값에 관계
없이 250ft 까지
원형 철재지보가 필요.
극단적인 경우 가축성 지보를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