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토질 및 기초54

숏크리트 : 형상에 구애받지 않는 지보재 숏크리트의 구분1. 시공방법에 따른 구분 :- 건식(dry-mix) 및 습식(wet-mix). 1990년대 중반 이전까지는 건식 숏크리트가 지배적으로 사용되었으나, 현재에는 성능, 시공성, 작업성 등이 우수한 습식 숏크리트가 전세계 숏크리트의 80~90%를 차지고 하고 있다(Melbye and Dimmock, 2001). 2.보강재료에 따른 구분 :- 강섬유보강 숏크리트 및 철망보강 숏크리트. 숏크리트의 취성파괴 특성을 보완하고 인성(toughness)을 확보하기 위하여 강섬유(steel fiber) 또는 철망(wire mesh)이 사용될 수 있다. 최근 들어서는 부식으로 인한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고 높은 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고성능의 합성섬유(synthetic fiber)가 외국에서 일부 적용되고 있.. 2024. 12. 4.
통일분류법 : 흙 및 암반의 분류 1. 개요흙 및 암반의 분류에 대한 방법중 하나로 통일 분류법은 흙의 입도시험방법(KSF 2302), 흙의 액성한계․소성한계 시험방법(KSF 2303)에 따른 시험결과를 근거로 분류하는 것으로서 흙의 종류를 2개의 로마문자 조합으로 나타낸다. 2. 통일분류법의 기호토질의 종류제1문자제2문자토 질 의 속 성조립토자갈(Gravel)GW입도분포 양호, 세립분 거의 없음. (75 ㎛ 이하 5% 미만 함유)P입도분포 불량, 세립분 거의 없음M세립분 12 % 이상 함유, A선 아래, 소성지수 4 % 이하C세립분 12 % 이상 함유, A선 위, 소성지수 7 % 이상모래(Sand)SW입도분포 양호, 세립분 거의 없음. (75 ㎛ 이하 5% 미만 함유)P입도분포 불량, 세립분 거의 없음M세립분 12 % 이상 함유, A선.. 2024. 12. 3.
터널의 한계온도 : 터널화재시 대응시간의 확보 터널의 한계온도의 설정 도로터널의 한계온도 설정은 터널화재 시에 도로 이용자가 스스로 피난, 대피 등을 하거나 도로관리청 및 경찰, 소방청 등 유관기관이 소화 및 구조 활동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대응시간을 확보하고, 화재로 인한 손상을 최소화하여 터널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터널 화재 시 터널부재의 최대온도를 한계온도 이내로 유지하여 각 부재의 성능을 유지천정 내부 측벽 내부승용차 400℃버스, 소형화물차700℃대형화물차 (휘발유 등의 위험물 적재않은 경우)1,000℃유조차 (일반적 경우 1,200℃유조차 (터널의 배수나 유출량의 제한이 없는  경우)1,400℃만약 불꽃이 구조물을 직접 가열할 경우더 높은 온도 고려 가능  터널의 주요 구조 부재는 콘크리트와 철근으로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는 약 40.. 2024. 12. 2.
기관별 비탈면 표준경사(신구기준) : 비탈면의 기울기를 통해 안정성을 사전확보 깎기 비탈면 경사(이전) 쌓기 비탈면 이전기준 국가건설기준( KDS 11 70 05_쌓기 및 깎기) - 쌓기 비탈면 표준경사쌓기재료비탈면 높이(m)비탈면 상하부에 고정 시설물이 없는 경우(도로, 등)비탈면 상하부에 고정시설물이 있는 경우(주택, 건물 등)입도분포가 좋은양질의 모래, 모래자갈암괴, 암버력0~51:1.51:1.55~101:1.81:1.8~1:2.010초과별도 검토별도 검토입도분포가 나쁜 모래, 점토질 사질토, 점성토0~51:1.81:1.85~101:1.8~1:2.01:2.010초과별도 검토별도 검토*1) 상기표는 기초지반의 지지력이 충분한 경우에 적용함.2) 비탈면높이는 비탈어깨에서 비탈끝까지 수직높이임. - 쌓기 비탈면 (철도)의 표준경사시공기면까지의 높이(H)일반철도고속철도일반철도고속철도.. 2024. 1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