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19

중립점과 부마찰력 아시다시피 흙은 추가적인 압력을 받게 되면 꺼짐(침하)가 발생됩니다. 연약한 지반일수록 침하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은 커지고, 침하량은 많이 발생될 것입니다. 예를 들어서 연약지반에 말뚝기초를 설치한 경우는 어떻게 될까요? 연약지반 층이 있어서 상부의 하중을 하부 지지층까지 도달토록 말뚝기초로 계획이 되어 있을 테고 말뚝으로 하중이 작용하고 연약지반에는 직접적인 추가하중은 없어보입니다. 말뚝도 완전 강성을 가진 것은 아니고, 하중으로 인해 말뚝자체도 변형이 발생될 것입니다. 성토나 추가적인 하중 또는 자중압밀등에 의해서 연약지반이 침하된다면? 말뚝의 침하량< 연약지반의 침하량이 크다면? 말뚝과 지반은 접해 있습니다. 이로 인해 말뚝의 주변에는 지반의 점착력, 마찰로 인해 주면마찰력이 생김니다. 말뚝으로.. 2015. 9. 24.
상황에 맞는 토압 지표면에서 5m하부에 있는 토립자(단위중량 18kN/m3)가 받는 연직응력은 18*5=90kN/m2입니다. 수평응력은 다들 아시다시피 연직응력에 토압계수를 곱한 값이 수평으로 작용합니다. 그럼 우리가 아는 정지토압계수, 주동토압계수, 수동토압계수 중 어떤 것을 사용해야 할까요? 방금전에 언급한경우 토립자의 양측에는 같은 수평토압이 발생 될것이니 변위가 없다고 보아도 무방 할 것입니다. 따라서 정지토압으로 사용하면 됩니다. 그럼 5m굴착을 한경우에는 흙은 굴착면으로 이동 할것입니다. 자주 듣는 말로 표현하자면 변위가 발생하지요. 이는 흙입자를 늘리는 작용을 할테고 흙입자는 전단강도를 벗어나 파괴에 이를 겁니다. 이때 주동토압이 발생될 것입니다. 대부분의 토질 역학 책에서는 흙이 벽체를 민다라는 표현을 사용.. 2015. 9. 23.
지반물성치의 산정 원지반의 지반강도정수는 지반설계에 있어서 중요합니다. 그래서 지반조사 및 시험을 통해서 계산하기도 하고 인근 현장에서 사용된 값을 참고하여 산출해 내기도 합니다. 직접 시험을 않더라고 문헌값 및 경험식에 의해 사용하기도 합니다. 지반물성치의 산정 방법에 관한 설명입니다. 구 분지반정수산 정 방 법기 본물 성단위중량(γ)∙실내시험 결과에 의한 산정 방법 : 불교란 시료 단위중량 측정, 현장밀도시험∙경험적 추정방법 - 풍화암층의 경우 N>50/10 이므로 매우 조밀한 토사층 으로 간주하여 추정포아송비(υ) ∙포와송비(static Poisson's ratio, υ) - 기존 문헌자료 토질종류 및 조성상태에 따른 일반적인 범위값 비교 추정 (Roy E. Hunt,1984, Braja M. Das,1995)역학물.. 2015. 4. 1.
빛을 읽다. 요제프 폰 프라운호퍼 (Joseph von Fraunhofer) 요제프 폰 프라운 호퍼((Joseph von Fraunhofer, 1787. 3. 6. ~ 1826. 6. 7.)는 그의 시대에 가장 뛰어난 장인이었습니다. 그는 매우 가난했고 고아였으며 12살때부터 거울제조사에서 유독성 물질을 마시며 노예처럼 일했습니다. 심지어는 거울 제조업자인 필립안톤 바이첼베르거의 집에서 허드렛일을 하며 책을 볼 수 있는 시간이 부족했습니다. 그러던 중 바이첼베르거의 집이 붕괴되는 사고가 일어나고 Bavaria의 왕자인 Maximilian IV Joseph에 의해 구조됩니다. 사고 현장에서 구출된 후, Fraunhofer는 왕자에게 보상을 받게 됩니다. 그 후 프라운 호퍼는 27살에 최고의 광학기계 설계자가 됩니다. 19세기초만 해도 광학기술은 극비로 여겨져 프라운 호퍼는 극비의 .. 2015. 4.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