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16 지진과 내진력(2) 우리는 땅위에 집을 짓고 삽니다.그것은 가장 보편적인 방법이며, 가장 안정된 방법이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지진이 발생된다면 우리가 흔히 땅이라 부르는 지반에서는 어떤 일들이 일어나는지 생각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신문위에 나무로 된 블럭을 견고하게 쌓습니다. 그리고 블럭 아래의 신문을 좌우로 흔들어 주면 블럭은 쓰러지게 됩니다. 설계를 통해서 구조물의 지진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해 내진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에는 5가지가 있습니다. 첫번째는 "내진"으로 구조물을 강하게 만듭니다. 구조물의 손상이 일부 가더라도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는 방법입니다. 블럭으로 따지자면 블럭과 블럭사이에 본드를 칠해서 결합을 조밀하게 하여 강도를 증가시키는 것과 같은 의미하고 할 수 있습니다.두번째는 "면진"입니다. 건물과 지반.. 2014. 4. 1. 지진과 내진력(1) 오늘(14.4.1) 새벽에 충남태안 연안에서 규모 5.1의 지진이 발생했습니다.지진은 왜 생기고 지진의 규모는 어떻게 판단하는 것일까요? 양쪽에서 끈을 잡고 있습니다. 끈의 한쪽으로 손목을 위아래로 흔들어 파동을 만들어 봅니다.손으로 만든 인공의 파동이 끈을 따라 이동합니다. 지진은 어느쪽에서 작용한 파동의 이동입니다. 끈은 육지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럼 왜 지진의 빈도는 곳에서만 일어나는가? 이유는 지구의 구성물질과 관계가 있습니다.지구는 46억년전 태어났습니다. 초기의 지구는 뜨거운 불덩어리였습니다.지구가 식으면서 단단한 지각이 35km형성 되었고 하부로 맨틀이 존재합니다. 지구중심에는 핵이 있습니다.지구의 중심까지의 거리는 6400km이므로 상대적으로 지각은 매우 얇습니다.즉 지구는 계란과 .. 2014. 4. 1. 현수구조 끈이 있습니다. 그 끈을 양쪽에서 잡아 당깁니다. 끈은 평행해집니다 끈 내부에서는 끈의 중간부분을 중심으로 당기는 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됩니다. 끈의 중간에 추를 하나 매답니다. 수평으로 끈을 유지하려면 큰 힘이 듭니다. 더 긴끈으로 하면 힘이 더욱 더 들게 됩니다. 그렇다면 줄을 잡고 줄이 느슨해 지도록 한 발자국씩 줄 중간방향으러 앞으로 옵니다. 드는 힘이 작아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왜일까요? 추의 무게도 일정하고 줄의 길이도 일정합니다. 바뀐건 줄이 추의 높이가 팽팽할때 보다 낮아진 것뿐인데 줄 내부에는 잡아 당김으로 인해 인장력이 발생하고 있었습니다. 그 힘은 줄과 수평방향의 힘과 중력방향의 힘으로 나눠질 것입니다. 즉 줄을 팽챙하게 당길수록 수평방향의 힘은 커지고 반대로 줄을 덜잡아당길 수록 .. 2014. 3. 31. 아치 아치구조 계란을 깰때 어떻게 깨시나요? 딱딱한 부분에 계란을 딱 때려서 깨시리라고 생각됩니다. 그럼 계란을 손에 움켜쥐고 깨보려고 해보신적이 있나요? 생각만큼 쉽게 깨지지 않을 겁니다. 이유는 바로 계란의 모양에 있습니다. 원이 있습니다. 원의 중심에서 수평선을 그어서 위로 볼록한 부분을 아치라고 합니다. 깬 계란의 껍질을 보겠습니다. 껍질이 말랑말랑한 고무같나요? 아니면 딱딱한가요? 딱딱한 재료들의 특징은 휘는 힘 즉 인장력에 취약합니다. 콘크리트도 딱딱한 재료로써 인장력에는 취약한 것과 이유가 같습니다. 철근콘크리트에 관한 포스팅 다시 아치구조 이야기로 가서 아치구조의 상부에 힘을 가해 보겠습니다. 그러면 아치구조를 따라 하중이 양옆으로 분산이 될겁니다. 그러면 계란의 표면에서는 하중이 계란껍질에 압.. 2014. 3. 31.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